• Customer Center
    고객님께 편안하고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위해 항상 친절하게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Tel  : 051-466-9750
    Fax : 051-467-9751
    blkor@blkor.co.kr
    평일 09:30 ~ 17:30
    토/일요일 휴무
업계동향

중국 갔던 신발공장들, 부산 컴백 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04-08 10:34 조회1,462회 댓글0건

본문

2ec65686515bbd3bb2d8993023e36e3d_1649381691_48.jpg
 


부활하는 신발메카 녹산공단

중국 싼 인건비 옛말, 월급 4배 올라

트렉스타·학산 등 국내로 공장 옮겨

자체 브랜드 만들고 설비 자동화

시에선 신발 기능실험실 지어줘


“신발 가격은 요지부동인데 중국 인건비가 4배로 올랐어요. 국내 공장에 로봇을 투입해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면 승산이 있다고 판단해 지난해 중국에서 철수했죠.” 


지난 12일 찾은 부산 강서구 녹산산업단지의 ‘트렉스타’ 부품공장에는 스마트 자동화 시설 설치작업이 한창이었다. 오는 6월 로봇 6대가 투입되면 근로자 45명이 생산하던 하루 1200켤레를 8명이 만들 수 있다. 자동화 시설 설비에는 정부 지원금 40억원이 투입됐다. 


트렉스타가 낮은 인건비를 찾아 중국 톈진으로 떠났던 1996년 중국인 1인당 월급은 200달러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2008년부터 임금이 급격하게 올라 2016년 900달러가 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각종 세제 감면 혜택이 줄어들고 직원 복지 혜택과 규제가 늘어나면서 수익성이 나빠졌다. 5000명이던 직원을 1000명으로 줄여도 수지타산이 맞지 않았다. 


트렉스타 박성원(57) 상무이사는 “중국을 큰 시장으로 보고 진출하는 해외기업이 많지만, 자국 기업에 우선권을 주기 때문에 해외 기업이 치고 들어갈 수 있는 시장은 좁다”며 “부채를 견디다 못해 야반도주하는 해외 기업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해외로 떠났던 신발업체들이 부산에 속속 돌아오고 있다. 수십 개의 신발 부품·제조업체가 밀집해 있는 녹산산단은 공장의 기계 소리에 활기가 넘치고 있다. ‘부산 신발 부흥’의 고동 소리다. 


㈜학산 역시 2016년 중국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내년 초 녹산산단 내 신발산업 집적화 단지에 공장을 새롭게 짓는다. 중국 공장에서 주문자 제작생산(OEM)으로 아디다스·뉴발란스·데상트를 생산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고 판단해서다. 


대신 국내 공장에서 자체 브랜드 ‘비트로’를 생산해 동남아 시장을 공략할 예정이다. 학산 이동영(35) 대표는 “국내에서 생산하면 ‘메이드 인 코리아’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고, 품질과 재고 관리가 쉽다”며 “지금도 비트로 테니스화는 나이키·아디다스 못지않게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기술력만 있으면 유명 브랜드와 대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나노텍 세라믹스는 2000년 창업 때부터 국내에 공장을 차렸다. 똑같은 슬리퍼 한 켤레를 생산할 때 베트남은 4달러, 국내에선 18달러가 들지만 특수기능이 있으면 소비자가 찾는다는 신념에서다. 나노텍 세라믹스는 2009년 신발 바닥에 세라믹 분말을 분사해 경사진 바위 위에서도 미끄러지지 않는 신발 개발에 성공했다. 중국산 제품과 비교해 10배 정도 비싸지만 물량이 달릴 정도로 인기다. 하루 1600켤레를 생산해도 주문량을 따라갈 수 없어 최근 현 공장 옆에 공장 증설에 착수했다. 2005년 15억원 수준이던 매출은 2017년 100억원으로 뛰었다. 기술 개발에 매년 매출의 7%를 투자하고 있다. 


이 회사 정상옥(55) 대표는 “한국 신발산업이 쇠락했던 건 유통업체에 휘둘릴 수밖에 없는 OEM 제조만 했기 때문”이라며 “안전하고 땀이 차지 않는 신발처럼 기능성이 높고 스토리가 있는 자체 브랜드를 생산해야 해외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부가가치를 높인 신발이 틈새시장을 파고들면서 관련 지표도 좋아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신발 제조업 출하액은 2006년 1조7000억원에서 2016년 2조4470억원으로 44% 증가했다. 10인 이상 신발업체 493개 가운데 230개가 몰려있는 부산은 같은 기간 5410억원에서 9130억원으로 69% 늘었다. 부산시도 신발산업 부흥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15억6000만원을 들여 오는 오는 9월 신발 기능을 실험하는 테스트베드를 만든다. 또 올해부터 2022년까지 230억원을 투입해 로봇 등 4차산업 기술이 접목된 ‘지능형 신발공장’을 구축한다. 아디다스의 스피드 팩토리(Speed Factory)처럼 로봇이 최대 7일 안에 완제품을 생산하게 할 방침이다. 



 이은지 기자 lee.eunji2@joongang.co.kr 


출처 : http://v.media.daum.net/v/20180315000434195?f=m&from=mtop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식회사 비엘코
부산시 중구 대청로22, 301호(부평동4가,향원부평타워)
Tel : 051-466-9750    |    Fax : 051-467-9751    |    E-mail : blkor@blkor.co.kr
Copyright ⓒ www.수출입운송.한국 / www.blkor.co.kr All rights reserved.